디지털공론장

전체메뉴
LANGUAGE
KOR ENG GER
로그인 회원가입
공론화방

투표결과

Q1인공지능(AI) 기술이 잠재적 이점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? 잠재적 위험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?
480건의
응답
  • 이점이 많다
    (이점이 많다+다소있다+약간 있다)
    63%(303건)
  • 위험이 많다
    (위험이 많다+다소 있다+약간 있다)
    10%(48건)
Q2다음 항목 중 가장 기대되는 인공지능(AI) 기술의 잠재적 이점은 무엇입니까? (중복선택, 최대 2개)
906건의
응답
  • 1순위 :일상생활의 편의성 향상 : 31.13% (282건)
  • 2순위 :업무추진의 효율성 증진 : 21.63% (196건)
  • 3순위 :산업현장의 생산성 혁신 : 16.78% (152건)
Q3다음 항목 중 가장 우려되는 인공지능(AI) 기술의 잠재적 위험은 무엇입니까? (중복 선택, 최대 2개)
907건의
응답
  • 1순위 :설계/오작동 발생으로 인한 피해 : 20.40% (185건)
  • 2순위 :악의적 의도로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위협 : 18.96% (172건)
  • 3순위 :개인정보 유출, 프라이버시 침해 : 17.53% (159건)
Q4안전한 인공지능(AI) 발전을 위해 ‘규제’‘혁신’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?
480건의
응답
  • 혁신이 중요하다
    (혁신이 훨씬 더 중요하다+
    혁신이 다소 더 중요하다+
    혁신이 약간 더 중요하다)

    63%(301건)
  • 규제가 중요하다
    (규제가 훨씬 더 중요하다+
    규제가 다소 더 중요하다+
    규제가 약간 더 중요하다)

    21%(100건)
Q5다음 항목 중 인공지능(AI)의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정부정책 방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?
  • 인공지능(AI) 연구·개발·사용을 위한 국가 마스터플랜 마련
  • 인공지능(AI)의 윤리기준 및 인공지능법 제정
  • 인공지능(AI) 윤리연구소 설립 운영
  • 인공지능(AI) 개발인력 양성
  • 주요 국가, 국제 기구와 협력하여 인공지능(AI) 표준화 등의 국제규범 마련
  • 기업간 인공지능(AI) 격차 극복
  • 인공지능(AI) 연구·개발·사용을 위한 국가 마스터플랜 마련
    21%

    (101건)

  • 인공지능(AI)의 윤리기준 및 인공지능법 제정
    31%

    (151건)

  • 인공지능(AI) 윤리연구소 설립 운영
    7%

    (37건)

  • 인공지능(AI) 개발인력 양성
    17%

    (84건)

  • 주요 국가, 국제 기구와 협력하여 인공지능(AI) 표준화 등의 국제규범 마련
    16%

    (78건)

  • 기업간 인공지능(AI) 격차 극복
    5%

    (24건)

480건의 응답
실시간 댓글 33건
  • *2024.06.30NEW

    참여완료

  • *2024.06.30NEW

    참여완료

  • 김*수2024.06.30NEW

    참여완료

  • 임*숙2024.06.30NEW

    참여완료

  • 김*화2024.06.28

    참여완료

  • 유*환2024.06.27

    참여완료

  • 장*지2024.06.27

    참여 완료

  • *2024.06.25

    참여 완료 :>

  • *2024.06.25

    참여완료

  • 임*자2024.06.25

    참여완료

댓글 작성